지난해 9월 중국이 44년 만에 태평양으로 실사거리 발사를 한 둥펑-31AG. <br /> <br />사거리 11,000km 미국 본토를 직접 때릴 수 있는 고체연료 ICBM으로 다탄두 핵무기입니다. <br /> <br />미국 국방부는 지난해 기준 중국이 핵탄두 600발을 보유해 최근 매년 100발씩 늘고 있다고 봤습니다. <br /> <br />이대로라면 2030년엔 1,000발, 2035년까진 1,500발을 웃돌 거라고 추산했습니다. <br /> <br />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와 '핵 군축'을 언급하면서 중국도 함께 겨냥한 배경입니다. <br /> <br /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 (지난 24일) : 중국이 지금은 미국보다 상당히 적은 핵무기를 가지고 있지만, 앞으로 4~5년이면 미국을 따라잡을 겁니다.] <br /> <br />그러나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(SIPRI) 연감 기준으로 보면 미국이 보유한 핵탄두는 3,708발, 러시아는 4,380발로 중국보다 현격히 많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의 집요한 요구에도 중국이 핵 군축에 응하지 않고 있는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, 트럼프가 중국에 역전당할 거라고 말한 근거는 단순 보유량이 아닌 실전 배치 기준입니다. <br /> <br />미국과 러시아가 2010년 새로 체결한 전략무기감축협정(New START)에 따라 양국이 작전용 핵탄두를 1,550발까지 줄이기로 한 겁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더해 지금은 폐기됐지만, 러시아와 조약(INF)에 묶여 있던 중거리 핵전력과 미사일 방어망을 뚫는 극초음속 탄도탄의 경우 중국이 앞서나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중국 관영 CCTV 시진핑 발언 보도 (지난해 10월) : 부대의 전투 능력을 확고히 함으로써 국가 안보와 핵심 이익을 효과적으로 수호하고, 손에 쥔 무기의 전략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해야 한다고…] <br /> <br />내년 2월 종료를 앞둔 미국과 러시아의 '신전략무기감축협정(New START)'을 대체해 중국까지 참여하는 3각 '핵군축' 대화가 성사될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YTN 강정규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편집ㅣ고 광 <br />디자인ㅣ백승민 <br />자막뉴스ㅣ이 선, 이도형 <br /> <br />#YTN자막뉴스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50131141409196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